[MBC뉴스]비싼치료비와 선입견의 벽, 화상 이겨내도 고통

관리자언론보도

중증 화상환자의 실제 이야기를 다룬 연극이 잔잔하게 화제가 되고 있는데요. 주변의 시선과 막대한 치료비, 화상환자들에게는 너무 높은 벽입니다. 임경아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뮤지컬 배우를 꿈꾸던 주인공에게 닥친 화재 사고. “아들도 못 알아보느냐고 하시네요.” 전신 화상을 입고도 생명을 건진 주인공은 우여곡절 끝에 자신의 오랜 꿈인 뮤지컬을 무대에 올립니다.
화상환자 이동근 씨의 실제 이야기로 만들어진 창작극입니다. 2년 전 사무실에서 일어난 폭발 사고로 전신 50%에 3도 화상을 입은 이 씨.

 

이동근/아이디서포터즈 프로듀서]

“나쁜 연기를 마셨을 때, 혈관을 타고 균이 돌아다니는 패혈증에 걸렸을 때 (위험한데) 저는 두 가지가 다 왔던 케이스라서…” 8개월 동안 28번의 수술, 뜨거운 연기로
성대 대부분을 잃어 목으로 숨을 쉬는 장치를 달고 살면서도 이뤄낸 꿈입니다. 하지만 이 씨의 이야기는 많은 화상환자들에게 그야말로 꿈같은 일입니다.
가장 높은 벽은 치료비. 중증 화상환자의 경우 건강보험 특례를 적용받아 1년간은 비용의 5%만 부담하면 되지만 이후는 모두 본인 부담입니다. 각종 재건치료까지
수천만 원도 다반사라는 게 보호자들의 얘기입니다. 얼굴 성형수술도 보험 적용은 한 차례뿐. 피부에 바르는 연고나 보습제부터 상처 보호복에 특수 밴드까지 모두 비급여입니다.

이동근/아이디서포터즈 프로듀서]
“(얼굴 성형은) 한꺼번에 해결되지가 않거든요. 아무리 못해도 제가 봐서는 네 번 다섯 번 이상의 수술이 필요한데 횟수를 단 1회로 규정한 거, 이거는 좀 무리가 있는 그런 정책이죠.”
겨우 병원을 나와도 치료비 탓에 생계 문제에 부딪히기 일쑤입니다. 10년 전 작은 대리점을 하다 누전 사고로 전신 59%에 화상을 입은 오찬일 씨.
지금까지 서른 번 넘게 수술을 받아야 했지만 화상을 입은 얼굴과 피부 탓에 일자리 구하는 건 엄두도 못 냈습니다. 화상환자 절반 이상이 겪는 사고 트라우마는 보살필 틈도 없었습니다.
치료비와 선입견의 벽에 부딪혀 겪어야 할 또 다른 고통을 덜어줄 제도적 보완이 절실해 보입니다. MBC뉴스 임경아입니다.
출처: http://imnews.imbc.com/replay/2017/nwdesk/article/4217331_21408.html